경제 / / 2022. 10. 24. 18:33

돈의 가치 하락! 돈은 가지고 있을수록 가난해진다

반응형

최근 금리가 상승하면서 사람들의 돈이 은행으로 많이 몰리고 있습니다. 목돈을 모으려면 저축은 꼭 필요하지만, 목적 없이 모으기만 한다면 장기적으로는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오늘은 돈의 가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간판

 

목차

     

    돈의 가치 하락, 인플레이션

     

    * 인플레이션이란?
    물가가 지속해서 오르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물가가 몇 % 상승해야 인플레이션이라는 라는 기준은 없다. 반대로 물가가 지속해서 하락하는 현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한다.

     

    마트에 장을 보러 가거나 외식을 하면 물가가 많이 오른 것이 실감 나곤 합니다. 최근 치킨 한 마리의 가격이 2만원이 훌쩍 넘은 것을 보면 실감이 크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10만원으로 예전에는 1만5천원 짜리 치킨을 6마리 이상 사고도 돈이 남았지만, 지금은 10만원으로 치킨 5마리조차 사기가 힘듭니다.

     

     

    대한민국물가상승률
    대한민국 물가상승률(출처: TRADING ECONOMICS)


    내가 가지고 있는 돈은 명목상 10만원 이지만 물가 상승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내가 가지고 있는 돈의 가치는 점점 떨어지게 됩니다. 내가 누군가에게 10만원을 빌려주고 이자 없이 5년 뒤에 그대로 돈을 받는다면 내 돈의 가치는 물가상승률 때문에 하락하게 되어 손해를 보게 됩니다.


    양적완화

     

    * 양적완화란?
    중앙은행 또는 이에 준하는 통화 발권 기관이 화폐를 발행한 후 그 화폐로 국채나 민간이 가지고 있는 일정 신용등급 이상의 채권을 매입하여 통화량을 늘리는 적극적인 통화정책이다. 중앙은행의 발권력을 이용하여 중앙은행 대차대조표의 규모를 대폭 늘려나간다는 특징이 있다. (출처: 나무위키)

     

    양적완화는 쉽게 말해 중앙은행에서 돈을 찍어내서 시중에 돈을 뿌리는 정책입니다. 돈을 찍어내서 중앙은행이 시중의 채권을 사주게 됩니다. 찍어낸 돈으로 국채, 기업채 등을 사게 되어 이 돈들은 정부나 은행으로 가게 됩니다. 그럼 돈이 생긴 정부는 여러 부양정책을 통해서 돈을 시중에 뿌리게 되며 은행 또한 대출을 해주면서 시중에 돈이 뿌려지게 됩니다.

     

    미국통화량
    미국-통화공급량 M2(출처: TRADING ECONOMICS)


    위 그래프는 미국의 통화 공급량입니다. 2020년에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의 중앙은행이 코로나 사태로 인해 양적완화 정책을 실행하면서 엄청난 양의 달러를 시중에 살포하였습니다. 미국의 이런 정책에 의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되고 돈의 가치는 점점 떨어지게 됩니다.


    화폐 가치 하락


    안타깝지만 안전을 위해서 은행에 돈을 계속 쌓아 두면 오히려 점점 가난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주식, 부동산, 금, 비트코인 등 가치가 점점 하락하는 돈을 앞으로 사람들의 수요가 있고 미래에 가치가 상승하는 자산으로 바꿔야 합니다.

     

    돈의가치하락


    대부분 투자는 위험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은행과 달리 오히려 투자하지 않는 것이 더 위험한 행동입니다. 왜냐하면 은행에 돈을 계속 넣어두는 행위는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것과 같기 때문입니다. 지금 미국은 금리를 올리면서 돈을 흡수하고 있지만 다시 위험이 오거나 경제가 많이 힘들어지면 다시 금리를 내리고 돈을 풀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앞으로도 자산을 가지고 있는 자와 없는자는 더욱더 자산의 격차가 벌어질 겁니다. 따라서 잠깐 금리를 올려 화폐의 가치가 올라가고 자산은 하락하는 이 시기에 열심히 돈을 벌어 앞으로 가치가 상승할 자산으로 바꾸어 놓으면 다음 금리 인하시기에 좋은 결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시장이 10년 동안 중단된다면 가지고 있을 때 행복한 것만 사라.

    - 워렌 버핏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